David Lynch
madness and civilization
지그문트 바우만 유동하는 공포
개인이 느낄 수 있는 여러 공포를 하루 일과에 담아 낸 기록물로 계획
Planning to make a film of a man's daily life that a variety of fear happens
블레어 위치, 혹은 클로버 필드를 참고
2009년 10월 31일 토요일
translated(bold letters only)
It won't be a easy thing for a man to grasp the main emotion that speaks for the age he lives.
To figure out the roots of fear that dominate, look at the contempary secular world to see how those concepts pervade our connected digital lives.
Realizing fear can be a conclusive evidence for understanding a certain age.
This thesis will include not just aesthetical meanings, but some sense of humanities or sociology also.
Captured the basic emotion and the fundamental fear and horror speak for medival age.
Tried to express these kind of religious fear and horror without any filtering, - sometimes too directly.
His works are so bizarre and mysterious.
Analyzing his works on the context of medieval age
Research the history and methodology
of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shock in art and expression
from the time of Bosch and apply them to modern society.
Basic emotion for our connected digital lives does not rely on religious belief unlike the medieval age Bosch lived.
Fear, and horror may not be oriented from supernatural phenomenons.
Fear for realistic factors would be more dominant.
Artworks based on these principles in an attempt to quantify this all to human of issues.
Drawing / Video Work
Formal resemblance with Bosch's works will be found.
Fear and horror for modern / digital age will be expressed.
Form of video work will be a short fake-documentary.
Cinematic techniques will be abandoned as possible in attempt to maximize realistic fear and shock.
To figure out the roots of fear that dominate, look at the contempary secular world to see how those concepts pervade our connected digital lives.
Realizing fear can be a conclusive evidence for understanding a certain age.
This thesis will include not just aesthetical meanings, but some sense of humanities or sociology also.
Captured the basic emotion and the fundamental fear and horror speak for medival age.
Tried to express these kind of religious fear and horror without any filtering, - sometimes too directly.
His works are so bizarre and mysterious.
Analyzing his works on the context of medieval age
Research the history and methodology
of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shock in art and expression
from the time of Bosch and apply them to modern society.
Basic emotion for our connected digital lives does not rely on religious belief unlike the medieval age Bosch lived.
Fear, and horror may not be oriented from supernatural phenomenons.
Fear for realistic factors would be more dominant.
Artworks based on these principles in an attempt to quantify this all to human of issues.
Drawing / Video Work
Formal resemblance with Bosch's works will be found.
Fear and horror for modern / digital age will be expressed.
Form of video work will be a short fake-documentary.
Cinematic techniques will be abandoned as possible in attempt to maximize realistic fear and shock.
2009년 10월 29일 목요일
horror is attractive
oh, u didn't know?
보쉬, 맨슨, H.R.Giger, Paul McCarthy, 베르세르크, 바이오하자드, B급 호러 영화, 공포 영화, 기타 등등등등등
단순히 괴이한 취향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환영받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심리를 자극하는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보쉬, 맨슨, H.R.Giger, Paul McCarthy, 베르세르크, 바이오하자드, B급 호러 영화, 공포 영화, 기타 등등등등등
단순히 괴이한 취향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환영받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심리를 자극하는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pro fuckin' posal (unrendered)
문제 제기:
나무는 볼 수 있지만 숲은 보기 힘들다는 말이 있듯이, 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에게 있어서 그 시대를 대변하는 정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일은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과연 후세의 사람들이 기억하게 될 오늘날 우리 시대의 가장 근원적인 두려움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연구 목적: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사회를 대변할 수 있는 두려움의 근원을 파악하고, 이것이 오늘날의 (일상 생활과) 예술의 국면에 끼치고 있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두려움'이라는 단어는 결국 '필요'라는 단어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으며, 필요에 의해 문명이 발전해 왔다는 점을 놓고 생각한다면 결국 두려움을 파악하는 것은 한 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예술사적인 가치는 물론 인문사회학적인 가치도 지닐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연구 방향 & 방법:
중세 말의 시기를 살았던 보쉬는 자신이 살던 시대를 대변하는 정서를 이해하고 그 근간을 이루는 두려움이 어떤 것인가를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그는 자신의 작업에 중세의 종교적인 공포를 여과없이, 그리고 직설적으로 표현하였고 그 결과로 그의 작품들은 괴이하며 신비하다. 그의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중세라는 시대적인 맥락 위에서 행한 후 그가 당시의 정서와 공포를 파악할 수 있었던 방법을 현 시대에 적용시켜 보려고 한다. 그의 방법을 빌어 현대 사회의 가장 지배적인 공포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역시 그가 했던 것처럼 그것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작품 구상:
데이브 시놉 그대로.
+
현대 사회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정서는 보쉬가 살았던 시대와는 달리 종교적인 측면에 있지 않다. 따라서 두려움의 요소들 역시 초현실적인 것에 바탕을 두고 있지 않을 것이다. 물론 초현실적인 현상이 두려움을 자아내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보다는 보다 현실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공포가 보다 지배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여기쯤에서 사진들을 예시로 보여준다)
이러한 것들이 중세시대와 같은 종교적이고 초현실적인 요소들이 아니라고 해서 보쉬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방법론을 지금의 예술 작품 표현 방식에 적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위의 논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의 두려움을 어떻게 디지털 시대의 일상과 예술 작품에 표현할 수 있는지를 작품의 주제로 잡는다.
두 점의 작품이 연구의 결과물로 제작 될 것인데, 형식은 드로잉 한 점과 짧은 비디오 한 편이 될 것이다. 드로잉은 보쉬의 작업들과 매우 유사한 형식을 띄겠지만 현 시대의 공포를 표현하기 때문에, '보쉬의 21세기 재해석' 을 위한 시도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내 작업 no man army)
비디오는 짧은 fake-documentary의 형식을 갖추어 제작하려 한다. 영화적인 연출을 최대한 배제하여 현실에서 느낄 수 있는 공포를 극대화 할 수 있기 위한 의도이다. 이미 많은 모큐멘터리 영화(블레어 위치, 클로버 필드 등)에서 시도된 기법이지만, 주로 초현실적이거나 상상속의 괴물을 주제로 한 이들과는 성격을 달리 할 계획이다. 그보다는 Paul McCarthy의 WGG Test에서 볼 수 있는 현실 가능한 공포와 충격 요법을 사용한다. 이 두 점의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공포를 가감없이 보여주려 한다.
나무는 볼 수 있지만 숲은 보기 힘들다는 말이 있듯이, 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에게 있어서 그 시대를 대변하는 정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일은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과연 후세의 사람들이 기억하게 될 오늘날 우리 시대의 가장 근원적인 두려움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연구 목적: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사회를 대변할 수 있는 두려움의 근원을 파악하고, 이것이 오늘날의 (일상 생활과) 예술의 국면에 끼치고 있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두려움'이라는 단어는 결국 '필요'라는 단어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으며, 필요에 의해 문명이 발전해 왔다는 점을 놓고 생각한다면 결국 두려움을 파악하는 것은 한 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예술사적인 가치는 물론 인문사회학적인 가치도 지닐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연구 방향 & 방법:
중세 말의 시기를 살았던 보쉬는 자신이 살던 시대를 대변하는 정서를 이해하고 그 근간을 이루는 두려움이 어떤 것인가를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그는 자신의 작업에 중세의 종교적인 공포를 여과없이, 그리고 직설적으로 표현하였고 그 결과로 그의 작품들은 괴이하며 신비하다. 그의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중세라는 시대적인 맥락 위에서 행한 후 그가 당시의 정서와 공포를 파악할 수 있었던 방법을 현 시대에 적용시켜 보려고 한다. 그의 방법을 빌어 현대 사회의 가장 지배적인 공포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역시 그가 했던 것처럼 그것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작품 구상:
데이브 시놉 그대로.
+
현대 사회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정서는 보쉬가 살았던 시대와는 달리 종교적인 측면에 있지 않다. 따라서 두려움의 요소들 역시 초현실적인 것에 바탕을 두고 있지 않을 것이다. 물론 초현실적인 현상이 두려움을 자아내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보다는 보다 현실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공포가 보다 지배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여기쯤에서 사진들을 예시로 보여준다)
이러한 것들이 중세시대와 같은 종교적이고 초현실적인 요소들이 아니라고 해서 보쉬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방법론을 지금의 예술 작품 표현 방식에 적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위의 논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의 두려움을 어떻게 디지털 시대의 일상과 예술 작품에 표현할 수 있는지를 작품의 주제로 잡는다.
두 점의 작품이 연구의 결과물로 제작 될 것인데, 형식은 드로잉 한 점과 짧은 비디오 한 편이 될 것이다. 드로잉은 보쉬의 작업들과 매우 유사한 형식을 띄겠지만 현 시대의 공포를 표현하기 때문에, '보쉬의 21세기 재해석' 을 위한 시도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내 작업 no man army)
비디오는 짧은 fake-documentary의 형식을 갖추어 제작하려 한다. 영화적인 연출을 최대한 배제하여 현실에서 느낄 수 있는 공포를 극대화 할 수 있기 위한 의도이다. 이미 많은 모큐멘터리 영화(블레어 위치, 클로버 필드 등)에서 시도된 기법이지만, 주로 초현실적이거나 상상속의 괴물을 주제로 한 이들과는 성격을 달리 할 계획이다. 그보다는 Paul McCarthy의 WGG Test에서 볼 수 있는 현실 가능한 공포와 충격 요법을 사용한다. 이 두 점의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공포를 가감없이 보여주려 한다.
2009년 10월 21일 수요일
Synop.
In Hieronymous Bosch's work, you can feel the fear and horror of the people who lived during late mid age to early Renaissance. Even though we can't imagine what it would be like to live through that period of time, but we still can imagine what could be the biggest fear when church controls almost every part of daily life. Devil's temptation, images of the inferno, or witch hunt could have been the root of their fear(or these things could have originated from the fear they had deep inside). Bosch tried to express these kind of religious fear and horror without any filtering, - sometimes too directly - and as a result of that, his works are so bizarre and mysterious. It's hard to find out those kind of impressions at the other artist's work.
This thesis will try to follow the way that Bosch tried to figure out the fear of thier daily life, and figure out the most fundamental fears of today. It might have some sense of humanities or sociology. Then going to analyze how they affected today's life and art visually so it could also have aesthetical meanings.
Two works for this thesis will be followed, first one will be using the fear and horror figured out and trying to express them visually. Second one will be analyzing, twisting and destroying the first work to see clearly what are the main factors of our fear today.
This thesis will try to follow the way that Bosch tried to figure out the fear of thier daily life, and figure out the most fundamental fears of today. It might have some sense of humanities or sociology. Then going to analyze how they affected today's life and art visually so it could also have aesthetical meanings.
Two works for this thesis will be followed, first one will be using the fear and horror figured out and trying to express them visually. Second one will be analyzing, twisting and destroying the first work to see clearly what are the main factors of our fear today.
2009년 10월 19일 월요일
최종 구상 _수정 01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작업들은 중세 말 경에서 근대로 들어가는 사이의 시기 사람들이 느낄 수 있던 공포, 두려움을 표현한 것이(라고한)다. 그 시대를 겪어보지 않은 우리들로서는 잘 이해하지 못할 수 있지만, 교권의 힘이 절대적이었던 시기에서 지배 이데올로기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진 가장 큰 두려움이 어떤 것일지는 짐작이 가능하다. 악마의 유혹이나 지옥불의 이미지, 마녀 사냥 등이 그 시대 사람들의 두려움의 가장 큰 근원이었을 것이다. 보쉬의 작업에서 보이는 이미지들은 이러한 종교적인 (그리고 그 시대의 가장 큰) 공포를 여과없이, 때로는 너무 직설적이다 싶을 정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그 결과 여타 예술가들의 작품들에서는 볼 수 없는 괴기스러우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이 강하다.
보쉬가 당시 사람들의 두려움의 근원을 찾으려 했던 방식을 짐작하여, 현대사회의 두려움의 근원을 찾으려는 작업은 첫째로 인문학적인(혹은 사회학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 생활상을 돌아본 후 가장 우선시 되고있는 가치가 무엇인가를 일차적으로 인문학적인 접근을 통해 파악한 후, 그 결과 사는 방식은 시각적으로 어떠한 모습을 띄고 있으며 무엇이 가장 금기시되고 두려움을 자아내는 근원으로 존재하게 되어 어떤 시각적인 결과물을 낳고 있는지를 분석한다면 미술사적인 가치도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보쉬의 두려움에 대한 접근 방식만을 따르지 않고 그가 했던 것처럼 "현대사회의 두려움과 공포를 시각적으로 어떤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현할 것인가"를 졸업 작품의 주제로 선정하고 기획, 제작하기로 한다.
수정 01
만약 보쉬의 작품이 두려움과 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선과 악의 대립 등의 방향에 더 가깝다고 파악 된다면 그에 맞춰서 논문 역시 현대사회의 미덕과 악덕의 차이, 행복과 두려움의 대립 쪽으로 선회한다. 예를 들면 부자와 노숙자 등의 대립따위로...헐
보쉬가 당시 사람들의 두려움의 근원을 찾으려 했던 방식을 짐작하여, 현대사회의 두려움의 근원을 찾으려는 작업은 첫째로 인문학적인(혹은 사회학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 생활상을 돌아본 후 가장 우선시 되고있는 가치가 무엇인가를 일차적으로 인문학적인 접근을 통해 파악한 후, 그 결과 사는 방식은 시각적으로 어떠한 모습을 띄고 있으며 무엇이 가장 금기시되고 두려움을 자아내는 근원으로 존재하게 되어 어떤 시각적인 결과물을 낳고 있는지를 분석한다면 미술사적인 가치도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보쉬의 두려움에 대한 접근 방식만을 따르지 않고 그가 했던 것처럼 "현대사회의 두려움과 공포를 시각적으로 어떤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현할 것인가"를 졸업 작품의 주제로 선정하고 기획, 제작하기로 한다.
수정 01
만약 보쉬의 작품이 두려움과 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선과 악의 대립 등의 방향에 더 가깝다고 파악 된다면 그에 맞춰서 논문 역시 현대사회의 미덕과 악덕의 차이, 행복과 두려움의 대립 쪽으로 선회한다. 예를 들면 부자와 노숙자 등의 대립따위로...헐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