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14일 금요일

2009년 8월 7일 금요일

8/7

http://dorosh.tistory.com/category/art?page=6

히에로니무스 보쉬 관련 블로그

2009년 8월 6일 목요일

gathering (dragging) sources... 8/6

In earlier centuries it was often believed that Bosch’s art was inspired by medieval heresies and obscure hermetic practices. Others thought that his work was created merely to titillate and amuse, much like the "grotteschi" of the Italian Renaissance. While the art of the older masters was based in the physical world of everyday experience, Bosch confronts his viewer with, in the words of the art historian Walter Gibson, "a world of dreams [and] nightmares in which forms seem to flicker and change before our eyes." In the first known account of Bosch’s paintings, in 1560 the Spaniard Felipe de Guevara wrote that Bosch was regarded merely as "the inventor of monsters and chimeras".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the Dutch art historian Karel van Mander described Bosch’s work as comprising "wondrous and strange fantasies"; however, he concluded that the paintings are "often less pleasant than gruesome to look at."[7]

In the twentieth century, scholars have come to view Bosch’s vision as less fantastic, and accepted that his art reflects the orthodox religious belief systems of his age. His depictions of sinful humanity, his conceptions of Heaven and Hell are now seen as consistent with those of late medieval didactic literature and sermons. Most writers attach a more profound significance to his paintings than had previously been supposed, and attempt to interpret it in terms of a late medieval morality.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Bosch’s art was created to teach specific moral and spiritual truths in the manner of other Northern Renaissance figures, such as the poet Robert Henryson, and that the images rendered have precise and premeditated significance. According to Dirk Bax, Bosch’s paintings often represent visual translations of verbal metaphors and puns drawn from both biblical and folkloric sources.[8]

However, some writers see Bosch as a proto-type medieval surrealist, and parallels are often made with the twentieth century Spanish artist Salvador Dali. Other writers attempt to interpret his imagery using the language of Freudian psychology. However such theses are commonly rejected; according to Gibson, "what we choose to call the libido was denounced by the medieval church as original sin; what we see as the expression of the subconscious mind was for the Middle Ages the promptings of God or the Devil."[9]

The artist Susan Dorothea White has produced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of Bosch's compositions - The Crowning with Sexism combines iconographic images of Marilyn Monroe and Joe DiMaggio, and The Seven Deadly Sins of Modern Times and The Seven Deadly Isms, both on circular tables, depict contemporary sins and obsessions.

---------------------------------Hieronymus Bosch - Wikipedia

2009년 8월 5일 수요일

suicide note (for self analysis)

life of 21st century (for self analysis)

the resemblance between mid age and today (about fears of mid age and today)

I'm still writing this...soon as I finish writing, I'll start to translate it into english.
---------------------------------------------------------------------------
중세 시대의 사회에서 가장 큰 영항력을 발휘하며 일상적인 면을 지배하고 있던 논리는 종교에 의한 논리였다. 삶의 모든 측면은 교회의 율법과 교리에 의해 통제되었고, 성직자들은 오늘날의 정치인들이나 대기업 총수와 비슷한 정도의 권력을 쥐고 있었다. 율법은 오늘의 헌법과 같은 것이었고 교황청은 말 그대로 국경을 초월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집단이었다. 교황은 왕보다 위에 자리하는 존재였으며 각국의 왕들은 교황의 최대 무기인 파문을 두려워하여 눈치를 봐야만 하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 사회의 표층적인 면과 심층적인 면 모두 종교에서 이야기하는 선/악의 기준에 의해 판단되었고 그 결과 오늘날까지 우리는 중세를 '암흑기'라 부른다.

교회의 지배 논리가 중세의 사람들에게 깊이 침투할 수 있었던 이유는 교회가 대중들과 왕에게 '악마'와 '파문'이라는 두 가지 거대한 두려움의 대상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토록 대중들의 두려움을 자극하며 지배 논리로 작용하는 어떠한 것이 있을지 모른다. 비록 중세시대와 같은 초국가적인 권력 집단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당시처럼 하나의 기관에 의한 통제는 불가능하겠지만, 통제나 기획에 의한 것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 가장 신봉되고 우선시되는 논리를 생각한다면 중세와 비슷한 두려움의 대상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것이 결국엔 자본의 논리라고 생각한다. 중세라고 해서 화폐 가치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신분이 결정되어 있고 계층간의 이동이 적은 사회에선 많은 재화를 얻기 위해 미친듯이 날뛸 이유가 없었다. 반면 현대 사회처럼 표면적으로라도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라고 주장하는 시대에선 결국 자본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지배 계층으로 올라서기 때문에 무한 경쟁으로 치닫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본의 논리'는 생존의 문제라는 '두려움'을 자극하면서 더욱 강해진다. 정도의 차이에 따라서 '삶의 질' 쯤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좀 더 궁극적으로는 '살아남아야 한다'라는 강박이야말로 현대인의 머릿속에 자리하고 있는 가장 큰 두려움일 것이고, 더 나아가 현대의 대부분의 사회적 병폐가 여기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o be continued...